이주호 “수능, 공교육 외 내용 배제…적정 난이도 확보”
이주호, 교육부 장관의 발언
국민의 학력 평가인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출제 관련하여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앞으로 공정한 수능이 되도록 공교육 과정 내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고, 적정 난이도가 확보되도록 시스템을 점검하는 등 교육부 수장으로서 모든 가능한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 협의회에 참석한 이 부총리는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의 출발점이자, 중요한 원칙은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하시는 공정한 수능평가”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수험과 공교육의 관계
이주호 장관은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제를 낸다는 건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을 했습니다. 그는 교육부가 이를 해결하지 못해 방치한 점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정부가 방치한 사교육 문제, 특히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힘든 와중에 학원만 배 불리는 작금의 상황에 대해 대통령이 이 문제를 여러 차례 지적하셨음에도 신속하게 대책을 내놓지 못한 데 대해 교육부 수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반성했습니다.
수능과 물수능의 구분
이주호 장관은 “공정한 수능은 결코 물수능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라며 “우리 아이들이 학원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하는 공정한 수능이 돼야 한다는 의미이고, 저는 이러한 수능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한 “일부 수능 입시 대형학원 등의 과장 광고 등 학원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도 엄중히 대응해 학부모가 안심하도록 하겠다”면서 “아울러 학교 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 수요를 원인별로 맞춤형 대응을 하는 대책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언급과 비판에 대한 해명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수능 관련 언급을 둘러싸고 야당에서 비판을 쏟아낸 것에 대해서도 이주호 장관은 적극 해명했습니다. 그는 “일각서 소위 ‘물수능‘ 이슈로 치환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공정한 수능은 결코 물수능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라며 “우리 아이들이 학원으로 내몰리지 않도록 하는 공정한 수능이 돼야 한다는 의미이고, 저는 이러한 수능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학생들에게 주는 조언
이주호 장관은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제를 낸다는 건 학생들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것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을 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공정한 수능을 위해 주어진 교육과정을 충실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학원 등의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수능은 국민의 교육 평가 도구이기 때문에, 공정하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부의 노력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노력과 자기주도적 학습이 필수적입니다. 학문적 균형과 공정한 평가를 위해 학생들은 교육과정을 충실히 따르며 최선을 다하는 것이 좋습니다.
<< photo by Vlada Karpovich >>
이미지는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실제 상황을 정확히 나타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