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세종대왕의 비전
금년은 훈민정음이 탄생한지 577년이 되는 해입니다. 훈민정음은 한자와 구별하여 백성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글이라는 뜻에서 언문(諺文)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세종대왕은 이 글자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 ‘소리’를 정확히 표현하고자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훈민정음은 단순히 한자어로 쓸 수 없는 의성어나 의태어를 표현할 수 있는 도구로만 생각되는 것이 아닙니다. 심지어는 귀신의 소리까지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세종대왕은 이를 통해 백성들이 자신의 의사를 직접 표현할 수 있기를 바랐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언문이라는 이름과 훈민정음 반대자들
흔히 언문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한글을 낮춰 부르는 말’이라는 오해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언문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것은 창제자인 세종대왕 본인이었습니다. 최만리의 ‘훈민정음 반대상소문’에도 ‘언문’이라는 표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세종대왕이 당시에 ‘언문’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최만리는 훈민정음에 대해 “왜 번거롭게 글자를 만드는가?”라고 반문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에 대해 세종대왕은 “너희들이 사성칠운을 알아?”라며 역적을 내기까지 한 것이 <세종실록>에 그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종대왕은 음성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훈민정음을 반대하는 신하들을 모두 하옥시킨 뒤 다음 날에 풀어주는 아량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는 감옥에 가둔 것은 실질적인 경감을 보여주고, 다음 날 풀어준 것은 자신의 관대함을 보여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종대왕의 지혜와 배려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한글의 세계적인 영향력
지금은 한글이 세계 언어로 인정받아 배워야 할 언어가 되었습니다. 세계 7대 언어의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류의 한 분야로서 크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이 다른 나라를 정복하거나 침략한 결과가 아닙니다. 단순히 문화적으로 세계 언어로 인정받은 것입니다.
한국은 다른 나라를 정복하거나 침략한 것보다는 문화로 세계 언어가 된 것이 큰 의미를 지닙니다. 다른 나라에서 문화가 주도되면 언어도 함께 전파되었는데, 한글은 언어 자체로서의 가치를 인정 받았기 때문에 세계 언어로 인정받았던 것입니다.
현재의 발전 속도를 보면 곧 5대 언어가 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 한글은 한류의 한 분야로서 세계적으로 인정받았으며, 한편으로는 고무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한글과 국문
한글에 대해서는 구한말에는 ‘국문’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구한말 뿐만 아니라 50년대에 태어난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국문’이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했으며, 한글과 국문이 거의 대등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한글’이라는 이름이 등장했는데 정확한 기원을 알기는 어렵습니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창시자가 불분명하지만 주시경이 1912년 경에 저술한 《소리갈》(음성학)이라는 책에서 처음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최남선이 처음으로 ‘한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고, 주시경이 이에 동의하였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최남선이 ‘아이들보이’라는 책에서 ‘한글풀이’라는 글을 쓴 것이 1913년으로 주시경보다 약간 늦습니다. 따라서 누가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었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세종대왕이 기역, 니은, 디귿이라는 이름을 지은 것은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이 명칭은 최세진이라는 학자가 1527년에 발간한 <훈몽자회(한자 학습교재)>에서 처음 붙인 것입니다.
한글의 중요성과 미래에 대한 전망
훈민정음은 한글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세종대왕의 군더더기 없는 비전과 음성학적 이해, 관대한 독백 등의 특징들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글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됩니다.
한글은 세계 언어로 인정받은 결과일 뿐만 아니라, 한류의 핵심 분야로서 국내외에서 큰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글은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과거의 구한말이나 일제강점기의 어려운 시기를 거치면서도 한글은 계속해서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쓰이고 있습니다.
한글은 현재의 성과와 발전 속도를 보면 곧 5대 언어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한글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한글 문화와 한류의 성공은 한글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글은 우리의 언어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는 한글을 지속적으로 보존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합니다. 한글을 가치 있게 여기고, 올바르게 배우고 사용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입니다.
한글은 우리의 아이덴티티와 자부심의 상징입니다. 우리는 한글을 통해 고유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고, 국제사회에서도 더욱 존경받는 나라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한글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발전하며, 세계 언어의 정상에 오르기를 기대합니다.
우리는 훈민정음과 한글의 역사를 되새기며, 그 가치와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한글은 우리의 자부심이자 문화의 보고입니다. 우리는 항상 한글을 지키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 photo by Lucas Hoang >>
이미지는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실제 상황을 정확히 나타내지 않습니다.